You signed in with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igned out i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witched accounts o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Dismiss alert
Copy file name to clipboardExpand all lines: content/ko/docs/concepts/architecture/control-plane-node-communication.md
+1-1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Display the source diff
Display the rich diff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21,7 +21,7 @@ aliases:
21
21
노드는 유효한 클라이언트 자격 증명과 함께 API 서버에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에 대한 공개 루트 인증서로 프로비전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본 GKE 배포에서, kubelet에 제공되는 클라이언트 자격 증명은 클라이언트 인증서 형식이다. kubelet 클라이언트 인증서의 자동 프로비저닝은 [kubelet TLS 부트스트랩](/docs/reference/command-line-tools-reference/kubelet-tls-bootstrapping/)을 참고한다.
22
22
23
23
API 서버에 연결하려는 파드는 쿠버네티스가 공개 루트 인증서와 유효한 베어러 토큰(bearer token)을 파드가 인스턴스화될 때 파드에 자동으로 주입하도록 서비스 어카운트를 활용하여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다.
24
-
`kubernetes` 서비스(모든 네임스페이스의)는 API 서버의 HTTPS 엔드포인트로 리디렉션되는 가상 IP 주소(kube-proxy를 통해)로 구성되어 있다.
24
+
`kubernetes` 서비스(`default` 네임스페이스의)는 API 서버의 HTTPS 엔드포인트로 리디렉션되는 가상 IP 주소(kube-proxy를 통해)로 구성되어 있다.
동일한 마이크로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티어(tier)와 관련된 리소스를 동일한 파일에 배치하고,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모든 파일을 동일한 디렉터리에 그룹화하는 것이 좋다. 애플리케이션의 티어가 DNS를 사용하여 서로 바인딩되면, 스택의 모든 컴포넌트를 함께 배포할 수 있다.
49
49
50
-
URL을 구성 소스로 지정할 수도 있다. 이는 github에 체크인된 구성 파일에서 직접 배포하는 데 편리하다.
50
+
URL을 구성 소스로 지정할 수도 있다. 이는 GitHub에 체크인된 구성 파일에서 직접 배포하는 데 편리하다.
Copy file name to clipboardExpand all lines: content/ko/docs/concepts/configuration/overview.md
+3-3Lines changed: 3 additions & 3 deletions
Display the source diff
Display the rich diff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81,9 +81,9 @@ DNS 서버는 새로운 `서비스`를 위한 쿠버네티스 API를 Watch하며
81
81
82
82
-`imagePullPolicy: Always`: kubelet이 컨테이너를 시작할 때마다, kubelet은 컨테이너 이미지 레지스트리를 쿼리해서 이름을 이미지 다이제스트(digest)로 확인한다. kubelet에 정확한 다이제스트가 저장된 컨테이너 이미지가 로컬로 캐시된 경우, kubelet은 캐시된 이미지를 사용한다. 그렇지 않으면, kubelet은 확인한 다이제스트를 사용해서 이미지를 다운로드(pull)하고, 해당 이미지를 사용해서 컨테이너를 시작한다.
83
83
84
-
-`imagePullPolicy`가 생략되어 있고, 이미지 태그가 `:latest` 이거나 생략되어 있다면 `Always`가 적용된다.
84
+
-`imagePullPolicy`가 생략되어 있고, 이미지 태그가 `:latest` 이거나 생략되어 있다면 `imagePullPolicy`는 자동으로 `Always`가 적용된다. 태그 값을 변경하더라도 이 값은 `IfNotPresent`로 업데이트 되지 _않는다_.
85
85
86
-
-`imagePullPolicy`가 생략되어 있고, 이미지 태그가 존재하지만 `:latest`가 아니라면 `IfNotPresent`가 적용된다.
86
+
-`imagePullPolicy`가 생략되어 있고, 이미지 태그가 존재하지만 `:latest`가 아니라면 `imagePullPolicy`는 자동으로 `IfNotPresent`가 적용된다. 태그가 나중에 제거되거나 `:latest`로 변경되더라도 `Always`로 업데이트 되지 _않는다_.
87
87
88
88
-`imagePullPolicy: Never`: 이미지가 로컬에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미지를 풀(Pull) 하기 위해 시도하지 않는다.
89
89
@@ -96,7 +96,7 @@ DNS 서버는 새로운 `서비스`를 위한 쿠버네티스 API를 Watch하며
96
96
{{< /note >}}
97
97
98
98
{{< note >}}
99
-
기반이 되는 이미지 제공자의 캐시 방법은 `imagePullPolicy: Always`를 효율적으로 만든다. 예를 들어, 도커에서는 이미지가 이미 존재한다면 풀(Pull) 시도는 빠르게 진행되는데, 이는 모든 이미지 레이어가 캐시되어 있으며 이미지 다운로드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99
+
레지스트리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상황에서는, `imagePullPolicy: Always`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기반 이미지 관리 도구의 캐싱 정책을 통해 이미지 풀(pull)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커를 사용하는 경우 이미지가 이미 존재한다면 풀(Pull) 시도는 빠르게 진행되는데, 이는 모든 이미지 레이어가 캐시되어 있으며 이미지 다운로드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 웹훅(WebHook)과 함께 [Metacontroller](https://metacontroller.app/)를
119
+
사용하여 직접 구현하기
120
+
*[오퍼레이터 프레임워크](https://operatorframework.io)
114
121
115
122
## {{% heading "whatsnext" %}}
116
123
117
124
118
125
*[사용자 정의 리소스](/ko/docs/concepts/extend-kubernetes/api-extension/custom-resources/)에 대해 더 알아보기
119
126
*[OperatorHub.io](https://operatorhub.io/)에서 유스케이스에 맞는 이미 만들어진 오퍼레이터 찾기
120
-
* 기존 도구를 사용하여 자신만의 오퍼레이터를 작성해보자. 다음은 예시이다.
121
-
*[KUDO](https://kudo.dev/) (Kubernetes Universal Declarative Operator) 사용하기
122
-
*[kubebuilder](https://book.kubebuilder.io/) 사용하기
123
-
* 웹훅(WebHook)과 함께 [Metacontroller](https://metacontroller.app/)를
124
-
사용하여 직접 구현하기
125
-
*[오퍼레이터 프레임워크](https://operatorframework.io) 사용하기
126
127
* 다른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자신의 오퍼레이터를 [게시](https://operatorhub.io/)하기
127
128
* 오퍼레이터 패턴을 소개한 [CoreOS 원본 글](https://web.archive.org/web/20170129131616/https://coreos.com/blog/introducing-operators.html) 읽기 (이 링크는 원본 글에 대한 보관 버전임)
128
129
* 오퍼레이터 구축을 위한 모범 사례에 대한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의 [기사](https://cloud.google.com/blog/products/containers-kubernetes/best-practices-for-building-kubernetes-operators-and-stateful-apps) 읽기
0 commit comments